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약통장] 사회초년생의 청약통장 2: 인정금액 상승! 늘려야하나 말아야하나?

사회초년생의 재테크

by kimj58917 2025. 1. 25. 12:53

본문

반응형

 

 

 

[적금 추천] 사회초년생의 청약통장 2: 인정금액 상승! 늘려야하나 말아야하나?

 

 

 

 

우리나라에서 내 집 마련은 누구나 꿈꾸는 일이죠. 특히 집값이 높아지는 요즘 같은 때는 더더욱 그런 꿈을 이루기 어려운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그렇지만 이 꿈을 조금 더 현실에 가깝게 만들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바로 주택청약통장입니다.

 

 

 

 

 

주택청약통장, 그거 뭐야?

이미 저번 글에서 청약통장에 대해서 설명한 적이 있는데요. 다시 설명하면, 주택청약통장은 새로 지어진 아파트나 주택을 청약하기 위

한 필수 통장입니다. 주택청약을 통해 당첨되면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죠. 그런데 이 청약이 한 번에 당첨되는 게 아니라,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순위’가 매겨집니다. 그리고 그 순위가 바로 청약통장에 얼마나 오랫동안 꾸준히 납입했는지와 예치금액에 따라 결정되죠.

 

25만 원, 그게 뭐가 달라?

최근에 주택청약통장의 월납입금 한도가 10만 원에서 25만 원으로 늘어났다는 사실, 다들 아셨나요? 사실 이 변화가 큰 의미를 갖는 이유는 단순히 더 많이 납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끝나지 않아요.

 

주택청약통장에 매달 25만 원을 넣는다면, 청약 1순위로 올라가는 속도가 확 빨라집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85㎡ 이하 아파트에 청약을 하려면 예치금액이 300만 원 이상이어야 하는데, 월 5만 원씩 넣으면 5년 걸리고, 10만 원씩 넣으면 2년 반이 걸리죠. 그런데 25만 원으로 한 달에 25만 원씩 넣으면, 불과 1년 만에 목표 금액을 채울 수 있습니다.

 

물론, 이렇게 빨리 모은다고 해서 바로 당첨되는 건 아니지만, 청약 경쟁에서 한 발 앞서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죠.

 

과연, 월 25만 원을 넣는 게 괜찮을까?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질문이 하나 생깁니다. 과연 모든 사람들이 매달 25만 원을 넣는 게 좋은 걸까요? 사실, 이는 자신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월급을 쪼개서 사는 분들에게는 이 금액이 부담될 수 있겠죠.

 

 

 

 

무리해서 납입할 필요는 없다?

당장 청약을 하지 않거나, 다른 특별공급을 통해 청약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면 무리해서 25만 원을 넣을 필요는 없어요. 예를 들어, 다자녀 가구나 신혼부부 등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6개월만 지나면 특별공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생애 최초 청약을 고려한다면, 선납금 제도를 활용해서 큰 금액을 한 번에 납입하지 않아도 청약을 받을 수 있죠. 

 

그리고 당장 청약을 하지 않는다면 그 돈을 다른 재테크 방법으로 불리는게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청약에 넣을 돈 300만원을 적금, 주식, 펀드 등에 넣어서 불린 다음에 청약이 준비가 될때 청약을 넣어도 늦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 부분은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게 중요합니다. 청약통장은 단기적인 목표보다는 장기적인 목표를 두고 꾸준히 납입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25만 원의 납입, 그 이점은?

그렇다면 월 25만 원을 넣는 장점은 뭐가 있을까요? 첫째, 소득공제 혜택입니다. 연봉이 7천만 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라면, 연간 최대 300만 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그만큼 세금 혜택이 커지죠. 둘째, 청약통장의 금리가 최대 3.1%로 올라가면서 이자 소득도 챙길 수 있어요. 아예 전액을 선납해 두면, 더 많은 이자 소득을 기대할 수 있답니다.

 

 

 

제도 개선과 청약 예·부금 전환

그리고 이번 개정안에서 또 중요한 점은, 기존의 청약 예·부금을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에요. 예·부금과 청약저축의 전환이 가능해지면서, 청약의 유연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심지어 청약 예·부금의 타행 전환도 가능해졌기 때문에, 기존에 청약 예·부금을 보유한 사람들도 이번 기회에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죠.

 

 

결론: 주택청약통장, 어떻게 활용할까?

결국 중요한 건, 자신의 상황에 맞게 청약통장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입니다. 월 25만 원을 납입하는 게 무조건 유리할 수 있지만, 자신의 재정 상황과 청약 계획에 맞춰 계획적으로 납입액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해요.

 

내 집 마련의 첫걸음은 청약통장이지만, 이 통장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답니다. 무리하지 말고,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꾸준히 준비해 나가면, 언젠가는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룰 수 있을 거예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